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였다가 설민석이 석사학위 표절 논란으로 하차 후 거의 한 달 만에 다시 방송한 프로그램.
벌거벗은 세계사를 봤습니다. 이제 강연하시는 분이 매주 바뀌는 시스템으로 진행되고요.
이번 주 벌거벗은 세계사 주제는 중세 유럽 인구의 1/3이 사망한 페스트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.
강의는 외과의사이신 장항석 교수님이 해주셨고요.
유익한 내용으로 재미있었는데 내용에 대한 흡인력~몰입하게 하는데는 전과 차이가 있더라고요.
설민석님이 역시 연기전공 출신이라 그런지 긴장감있게 내용을 끌고가는 힘은 대단하시구나를 느끼며 보긴 했어요.
처음부터 보지는 못했지만 강의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중세 유럽 인구의 1/3을 죽인 살인마-페스트, 흑사병
1. 유럽 인구의 1/3을 사망하게 한 살인마 페스트는?
-혈액 응고 장애를 일으키는 페스트 균
-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살이 검게 변하며 죽게 됨
-림프절 페스트, 폐렴성 페스트, 패혈증성 페스트 등 다양
2. 페스트의 감염 경로는?
-쥐벼룩에 페스트균 감염-> 쥐감염-> 사람 감염
-곰쥐가 사람에게 감염시킨 주원인일 거라 추측
; 곰쥐는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넘어간 쥐로 쥐벼룩에 감염될 경우
다른 쥐는 죽는데 곰쥐는 쥐벼룩에 강해서 살아남아 사람에게 전파하는 역할
-사람과 사람간의 감염으로 급속한 확산
;코로나와 같은 감염 경로
페스트도 비말로 감염
'쳐다만 봐도 페스트가 걸린다'는 속설
-> 그 만큼 가까운 거리라 비말로 감염되었을 가능성 높음
3. 중세 유럽에서 페스트가 빨리 퍼진 이유는?
1) 당시 소빙기로 반복되는 기근과 흉작으로 면역력이 약해진 사람들
2) 최악의 위생환경
-정말 더럽고 더러운 중세 거리
-냄새를 가리지 위해 그 당시 향수 발달
-밤새 사용한 요강의 내용물을 길거리에 투척..
-길거리는 최악의 더러운 상태(오물, 냄새)
-귀족들의 화장실
위 사진이 귀족들의 화장실인데 밑에 구멍이 뚫려 볼일을 보면 바닥에 그대로 용변이 떨어지는 구조...
아래쪽은 사람들이 돌아다니는 길이라고 함...ㅜ.ㅡ
3) 신앙으로 대규모 집회로 더 감염
-중세는 종교가 엄청 중요한 시기
-페스트에 걸리지 않기 위해 참회하고 대규모 집회하고
-자신 몸에 하루에 두 번 채찍질하며 33일 동안 참회하며 고행하는 사람들
=>자해로 상처난 자리에 세균감염=>슈퍼전파자가 됨
4) 환자들이 성직자의 손의 잡고 회계
=> 성직자들의 사망이 잇따름
=> 신앙에 대한 불신, 종교에 대한 회의가 높아짐
4. 증오의 대상이 된 유대인
정말 항상 핍박의 대상이자 증오의 대상이 되는 유대인들
불쌍하기도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살아남아 대단한 것 같아요.
불안감에 찾은 증오의 대상 => 유대인
유대인이 증오의 대상이 된 이유
다른 사람들에 비해 사망률이 낮았고 하층민이었기 때문
유대인의 감염률이 낮았던 이유
청결한 생활습관
코셔푸드(유대 규정에 의해 정갈하게 조리된 음식)
고문에 강제 자백에 의해 유대인이 페스트(흑사병)을 퍼트렸다 진실
=>유대인 대학살이 일어남...ㅜ.ㅡ
5. 페스트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
-페스트 의사들
기괴한 복장의 페스트 의사들 등장 현대의 방호복과 비슷한 느낌
부리 쪽에 있는 긴 관에 허브나 소독제, 식초, 약초 등을 넣어 감염을 예방하려 함.
긴 막대기를 이용해서 비접촉 생사 확인
그리고 페스트 걸린 사람을 때리는 용도로도 사용했다고 함.
-과학자들의 노력
작년에 아이작 뉴턴의 페스트 치료를 위한 노트가 발견되어 1억에 낙찰되었다고함
=> 거기에는 두꺼비를 거꾸로 매달아 나오는 토사물과 죽은 두꺼비를 이용해서 페스트 치료제로 사용하라는
방법이 적혀 있었다고 함.
노스트라다무스의 방법
;노스트라다무스는 예언자로 유명하지만 몽펠리에 의과대학의 의대생이었다고 함.
감염 예방에 기초가 된 치료법인 청결한 습관과 생활습관등을 강조했다고 함
-도둑들을 통해 발견한 방법
;페스트 걸린 집에 들어가서 도둑질을 한 도둑들이 페스트에 걸리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온 몸에 식초를 바르고 들어갔었다고 함. 그래서 이 식초에 추가로 허브나 약제를 추가해서 페스트 치료에 필요한 것들을 만들었다고 함.
실제로 이 일화를 바탕으로 한 액체 조미료 브랜드도 출시되었다고 함.
6. 페스트의 종식과 이후의 변화
페스트가 몇 백년이나 지속되었는지는 몰랐는데 페스트는 몇 백년동안 지속되다 17세기 말 쯤 종식되었다고 함.
- 환경 개선
- 인구 감소로 자연스럽게 개선된 영양상태
인구감소로 노동력 부족함에 따라 임금 상승하며 자작농들이 늘고 면적대비 노동력이 적게 들어가는
포도 농사가 늘어서 와인산업이 발달하는 계기
중세의 몰락(봉건영주와 종교에 대한 불신)->르네상스 시대.
퀴즈의 내용 한 가지도 공유하면
체코의 세드렉성당 내부는 특별한 무언가로 꾸며져 있는데 그 장식물은 무엇일까?
정답은 바로 셀 수 없이 많은 유골이라고 합니다.
페스트로 수많은 사람이 죽고 그 유골이 성당에 묻히길 바래서 여러 곳에서 보내왔는데 감당할 수 없을만큼 많은 양이어서 죽은 사람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최상의 방법으로 선택한 방법이 바로 세드렉 성당 내부를 이 유골로 장식했다고 합니다.
중세의 페스트, 중세의 생활상도 엿볼 수 있었던 벌거벗은 세계사였고요.
특히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상황과 많이 유사한 측면도 있어서 더 의미있게 봤습니다.
다음 주 주제는 다시 태평양 전쟁 일본의 진주만 공격인데요. 지난 번에 예고에서 설민석 님이 강연했던 것은 다 폐기처분하고 새로 다른 분 강의로 찍었더라고요.
다음 주도 본방사수는 해야죠.
'TV 프로그램 > 세계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벌거벗은 세계사 6화 진시황제 폭군의 비밀 (0) | 2021.02.13 |
---|---|
벌거벗은 세계사 핵폭탄 맨해튼 프로젝트, 진주만 공격 정리 (0) | 2021.02.08 |
설민석의 벌가벗은 세계사 일본편 하얼빈 731부대의 만행 (0) | 2020.12.27 |
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 일본편 난징대학살 내용 정리 (0) | 2020.12.27 |
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 일본편-난징대학살과 731부대 등 (1) | 2020.12.26 |
댓글